나는 푸른 하늘을 기억하고 있다

단가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 inhibitor Monoamine Oxidase lnhibitor

모노아민을 파괴하는 효소를 억제함. 임상적으로 쓰이기 시작한 최초의 효과적인 항우울제. 부작용 때문에 가장 적게 사용됨 


- 주로 사용되는 MAOI

이소카복사지드isocarboxazid  페넬진phenelzine  트라닐시프로민tranylcypromine  셀레길린selegiline

가역적 단가아민 산화효소 억제제(reversible inhibitor of MAO typeA:RIMA):

모노클로베미드moclobemide. brofarmine


- 효과 

비전형 우울증[각주:1]에 특히 효과(TCA보다)

상당한 불안을 가진 우울증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사회공포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거식증

RIMA[각주:2]: 비전형 우울증, 경계성 인격장애

TCA와 병용할 때 효과 강화됨


- 부작용

기립성 저혈압[각주:3]

항콜린[각주:4], 항히스타민성[각주:5] 작용은 없다. 

고혈압 위기: 티라민[각주:6]이 함유된 음식을 먹으면(치즈, 맥주, 닭간, 발효식품) -> NE[각주:7]으로 전환&분고혈압 위기

고혈압 위기증상: 비고혈압 위기, 섬망delirium[각주:8], 초고열hyperpyrexia, 경련/경기convulsion

고혈압 위기치료: 펜톨아민[각주:9]phentolamine, chorpromazine

고혈압 위기MAO-A 억제제inhibitor(모노클로베미드): 이러한 부작용이 없거나 미미 



- <POWER  신경정신과 5번째 판>, 군자출판사, 김기의





  1. 우울+불안, 밤낮의 역전, 저녁무렵에 기분이 악화, 과수면, 감정의 불안성, 과식 [본문으로]
  2. 가역적 단가아민 산화효소 억제제(reversible inhibitor of MAO typeA: RIMA) [본문으로]
  3. 누웠다가 일어설 때 혈압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혈압이 내려가는 병. 특히 아침에 잠에서 깰 때 현기증이나 실신을 일으키는 일이 많은데 자율 신경 장애가 원인이다. [본문으로]
  4. 구갈(목마름), 변비, 배뇨곤란, 시력장애, 발기부전 [본문으로]
  5. 히스타민에 특이하게 길항 작용을 하는 약물로 알레르기증의 치료에 사용된다. 1942년 B.N. Halpern이 안테르간(英 antergan)을 발표하여 비로소 실용화되었다. 항히스타민 작용 외에 국소 마취 작용, 교감 신경 차단 작용, 부교감 신경 차단 작용, 진정, 구토 진정 작용이 있다. 구조식에 의한 분류는 아래 「항히스타민약」 표와 같다. 【용도】 두드러기, 고초열, 비염, 기관지 천식, 혈청병, 감기(초기), 멀미, 부작용으로는 졸음, 소화기 장애, 발진, 흥분 등. [네이버 지식백과] 항히스타민제 [抗-劑, antihistaminic agent, Antihitaminikum] (화학대사전, 2001.5.20, 세화) [본문으로]
  6. tyramine아드레날린과 비슷하게 교감 신경 흥분 작용을 함 [본문으로]
  7. 노르에핀에프린Norepinephrine 교감 신경계의 신경 전달 작용을 하는 부신수질에서 에피네프린과 함께 추출되는 호르몬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노르에피네프린 [norepinephrine] (두산백과) [본문으로]
  8. 망상/헛소리 [본문으로]
  9. 세포종(腫) 진단에 사용 [본문으로]
반응형

삼환계 항우울제 TCAs  Tricyclic Antidepressants

분자구조가 세 개의 고리모양. 노어에피네프린과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막아서 활동을 연장시킴


- 종류

삼환계 및 사환계 항우울제의 분류 

아미트리프탈린Amitriptyline[각주:1]_  진정효과, 항콜린성 부작용[각주:2] (일일용량mg/day 150~300)

노르트립틸린Nortriptyline[각주:3]_  치료적 약물 농도의 범위 50~150mg/ml (일일용량mg/day 70~150)

이미프라민imipramine_  야뇨증, 공황장애, 범불안장애,PTSD, 식사장애 (일일용량mg/day 150~300)

데시미프라민Desmipramine_  치료적 약물 농도의 범위 125~200mg/ml (일일용량mg/day 150~300)

독세핀Doxepin_  알레르기, 식도염, 위궤양 (일일용량mg/day 150~300)

Amoxapine_  대사산물인 7-OH의 항정신병약물 효과, 강박장애 (일일용량mg/day 150~600)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_  강박장애. 250mg/day이상의 용량에서 간질이 보고됨 (일일용량mg/day 150~250)

마프로틸린Maprotiline_   225mg/day 이상의 용량에서 간질이 보고됨 (일일용량mg/day 150~225)


- 약동학

기전: 노르에핀에프린Norepinephrine, 세로토닌serotonin이 재흡수 되는 것을 차단 -> 노르에핀에프린, 세로토닌 활성도 상승

무스카린 Ach수용체[각주:4]muscarinic ACh receptor 차단 -> 항콜린성 영향anti.cholinergic effect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histamine receptor -> 진정작용, 식욕 상승 (특히 독세핀)


- 용법

3차 아민(이미프라민, 독세핀, 클로미플라민, 아미트리프탈린): 진정작용이 강함(불안, 불면이 동방된 격정성 우울에 효과)

2차 아민(노르트립틸린, 데시미프라민): 자극작용이 있어 지둔성(반응이 느린?) 우울에 효과 

1~2주에 수면, 식욕 호전. 2~3주에 우울증 호전(가장 늦게 효과가 나타나는 약물)


- 적용증

주요우울장애의 치료와 예방(70%에서 반응)

양극성 우울증: 조증으로 전환위험이 있으니 주의

신경성 장애, 조현병, 기타 정신장애에 동반된 우울장애

공황장애,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식사장애, 정신신체장애(소화성궤양, IBS, 야뇨증, 편두통)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특히 이미프라민은 야뇨증, 공황장애. 클로미프라민은 강박장애에 효과


- 부작용

항콜린작용: TCA투여시 대표적 부작용. 구갈(목마름), 변비, 배뇨곤란, 시력장애, 발기부전

심혈관계: 혈압, 맥박, 심장전도에 상당한 영향

기립성 저혈압[각주:5]: 부프로피온[각주:6]bupropion을 제외한 TCA, MAOI, SSRI 등에서 

심장 전도: TCA는 영향을 주나 MAOI, SSRI, 부프로피온 등은 혈압, 맥박에만 영향을 줄뿐 심전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진정, 수면작용 

체중증가

성기능 장애

신경학적 부작용: 진전tremor(몸을 떠는?)


- 금기 및 주의사항

녹내장glaucoma, 양성전립선비대BPH에는 금기

노인은 특히 혈압 조심

심장병 환자는 조심

임신시 기형발생물질 영향teratogenic effect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피한다



- <POWER  신경정신과 5번째 판>, 군자출판사, 김기의


  1. 아미트리프탈린 ((우울증 및 야뇨증 치료제)) [본문으로]
  2. http://blog.naver.com/iiiloveyou/30173385662 자율신경계 부작용 항콜린성 작용으로 대부분 환자들은 입이 마르고, 눈이 잘 보이지 않으며, 소변장애, 변비 그리고 드물게 마비성 장폐쇄증, 녹내장 악화 등이 나타난다. 심하면 착란상태, 환각, 고열 및 혼수가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부작용에 대한 치료는 약물의 감량, 다른 고역가 약물로의 교체 등이다. 항콜린성 부작용은 항콜린성 항파킨슨 약물병용으로 악화될 수 있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부작용에는 bethanechol을 투여한다. 변비에 대해서는 완화제를 사용한다. a-아드레날린성 차단작용 때문에 기립성 저혈압이 나타나는데, 특히 저역가 약물에서 흔하며 a-아드레날린성 혈압상승제를 투여하여 치료한다. 기타 부작용으로 맥박이 느려지고 기초대사율이 떨어지며 체온도 하강한다. 매우 드물지만 심실세동으로 급작스럽게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본문으로]
  3. 정신 안정제 [본문으로]
  4. 아세틸콜린수용체중 무스카린에 의해 약리작용이 모방되는 수용체. 아트로핀에의해 저해되며, G단백질 공역수용체에서 신경세포, 평활근, 심근, 선세포 등에 분포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무스카린[성아세틸콜린]수용체 [muscarinic acetylcholine receptor, ~[性~]受容體] (생명과학대사전, 2008.2.5, 아카데미서적) [본문으로]
  5. 누웠다가 일어설 때 혈압 조절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혈압이 내려가는 병. 특히 아침에 잠에서 깰 때 현기증이나 실신을 일으키는 일이 많은데 자율 신경 장애가 원인이다. [본문으로]
  6. (항울제로 니코틴 금단 증상 완화제로도 사용된다; 상표는 Zyban). [본문으로]
반응형
1 
BLOG main image
나는 푸른 하늘을 기억하고 있다

by dung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07)
우리집 곰두리들 (149)
만날만날 (52)
토동토동 (370)
리뷰 (514)
나의 시간 (145)
알아차림과 수용 (0)
S - 심리치료 (145)
S - 일러스트와 디자인 (24)
w - 모에모에 설정 (0)
W - 나의 끄적끄적 (0)

달력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05-03 03:34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