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푸른 하늘을 기억하고 있다

'안도 오사무'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13.06.18 동일화로부터의 해방 - 탈동일화 2
  2. 2013.05.31 탈자동화(탈동일시)
  3. 2013.05.31 통증.고통에 대한 대처 1

발달 과정에서 유아가 환경과의 동일화를 포기하고 신체와 동일화를 이루고, 그 후 언어능력의 발달과 함께 점차로 자아 즉 사고의 동일화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앞에서 살펴보있다. 현대인의 의식에서는 통상적으로 사고라 하면 감정과 감각보다 우위의 지배적 위치를 점하는 것으로 인식되낟. 그리고 사고는 거의 쉼없이 자동적으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일반적으로 성인의 생활은 항상 사고와 사고 작용의 동일화를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사고와의 동일화'는 사고 내용에 대해서도 적용하여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언가 걱정거리가 있을 때는 그 생각이 끊임없이 의식 위로 올라와서, 다른 사람이 말을 걸어와도 건성으로 듣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그것은 당사자가 그 생각과 사고 작용에 동일화되었기 때문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동일화는 다음과 같은 사용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텔레비전을 보면서 무언가를 먹고 있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그때 텔레비젼에 주의를 빼앗겨 텔레비전이 내보내는 다양한 자극에만 동일화되어, 음식의 맛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때 다양한 생각이 떠오르거나, 밖에서 다른 사람의 소리나 새 소리기가 나는 등 많은 일이 일어나지만, 우리들은 그곳에서 일어나는 전체를 보거나 느끼거나 의식하지 않고, 항상 무언가와 상대적으로 동일화되어 살고 있다. 

또 '역할과의 동일화'라는 이해도 유용하다. 가정에서 아버지, 회사에서 회사원, 남편이나 아내 등의 역할은 어느 정도 의식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해도, 다른 사람과의 관계성 속에서 거의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행동을 말한다. 회사에 도착한 순간, 그 사람은 의식하지 않더라도 누구를 만나든 회사원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것은 회사원이라는 '역할과 동일화'가 이루어지고 있기에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것이다. 이것을 좀더 넓혀 생각하면, 우리들은 사람만이 아니라 동물과 환경, 나아가 물질에 대해서도 항상 암묵적으로 어느 종류의 역활을 취해서 즉 동일화해서 행동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동일화는 그것이 의식되면, 필요에 따라 포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이 정신통합이라는 치료체계를 구축한 이탈리아의 정신과 의사 로베르트 앗사지오리가 심리치료의 기법 가운데 하나로 제시한 탈동일화라는 개념이다. 

가면과 동일화는 언젠가는 어떠한 계기로 반성해야 할 때가 온다. 그때 사람은 가면으로부터 탈동일화를 강요받는다. 왜나하면 그것은 참된 자기가 아니기 대문이다. 만약 사람이 자기실현을 찾아가는 존재라고 하면, 사람은 언제나 깊은 곳에서 참된 자기를 추구하며 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참된 자기가 되기 위해서는 가면을 제거해여 한다. 나아가 자아와의 동일화도 포기하고, 그곳에서 분화해 온 자기 자신의 신체를 돌려놓아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 신체와의 동일화마저도 포기하고, 자기 자신이 분화해 온 환경과 일체가 되는 것, 즉 자타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아갈 필요가 있을지도 모른다. 


- <심리치료와 불교>, 안도 오사무, 불광출판사, 서양심리학과 불교, 동일화로부터의 해방, p110 


반응형

강렬한 감정과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생각에 완전히 마음을 빼앗겨 버리면, 아무런 자각없이 자동적으로 반응하게 된다. 하지만 명상을 통해 자신을 관찰하는 눈이 생겨나게 되면, 그때부터는 그 눈을 통해 관점과 자세를 취하게 되어 지금까지 자동적으로 반응해 왔던 패턴을 바꾸게 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행동을 컨트롤하고 수정하게 된다. 다이크만은 이 메커니즘을 탈자동화라고 부른다. 


- <심리치료와 불교>, 안도 오사무, 불광출판사, 현대 심리치료로서의 명상, 인지치료로서의 명상, p134


반응형

기본적으로는 스트레스였든, 불안과 공포였든, 또 신체적 감정적 통증과 고통이었든, 명상에서 하는 것은 그것을 단지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다. 명상 특히 이 책에서 설명하는 통찰형의 명상에서는 그 순간순간에 거기에 있는 것, 혹은 일어나고 있는 - 사고, 감정, 신체감각 등을 포함하여- 모든 것에 주의를 기울리는 것, 즉 자각(알아차림)을 갖고 대웅하는 것이 그 핵심이다. 어떠한 불안이나 통증에 대해서도 판단을 내리지 않고 주의를 기울이면, 그때까지 알지 못했던 세세한 관점이 나타나게 된다.

앞서 말한 카밧진의 설명에 따르면 명상에서는 불안과 통증이라는 감각에 대한 자기 생각과 감정을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그때까지는 그 감각을 '통증'이라고 불렀을지 모르지만, 통증이라고 이름붙인 것은 자기의 생각과 감정이다. 마음에는 이 통증과 관련한 다양한 생각이 계속해서 일어난다. 예를 들면 '더 이상 견딜 수 없다'라든가 '어떻게든 하지 않으면,' '이런 고통 속에서 계속 살 바에야'와 같은 생각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것들은 어디까지나 자기의 생각일 뿐, 고통 그 자체는 아니다.

그리고 고통에 대한 생각은 자기 자신이 아니다. 그것은 고통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때에, 고통에서 해방되고자 원하는 반응이다. 고통에 대한 자기의 생각과 감정, 고통스러운 신체적인 느낌, 그리고 신체 자체를 자신과 동일시해 버리면, 더더욱 혼란스러워져 '객관적인 방관자로서의 관점'이 유지될 수 없게 된다. 명상에는 이 '방관자적 관점'이 필요하다고 카밧진은 강조한다.

신체라는 것은 함께 인생을 걸어가야 하는 반려이자,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존재이다. 그렇지만 그것은 '바로 자기 자신 그 자체'가 아니다. 신체 그 자체가 내가 아니라면, 신체의 고통도 나의 것이 아니다. 그리고 명상을 통해 그러한 자기의 존재감각에 깊숙이 들어갈 수 있으면, 고통과의 관계가 변하게 된다. 명상을 통하여 이러한 체험을 하게되면 고통을 받아들일 여유가 생겨나고, 고통과 함께 살아갈 자기 나름의 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메시추세츠 대학의 스트레스 클리닉에서는 이러한 생각에 입각하여 병원의 '통증 클리닉'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통증 클리닉에서 의료 처치만으로는 나을 가망이 없는 사람들 가운데,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무엇인가를 하려고 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으로 명상을 도입한 치료적 관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치료 성과의 소개에 따르면, 의학적인 '통증 척도'에서 측정된 만성적인 통증을 안고 있는 화자들 중 60%에서, 통증이 반감되었다는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또한 그뿐만 아니라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기 신체에 대한 부정적 견해도 단기간에 큰 폭으로 개선되었다고 한다. 


- <심리치료와 불교>, 안도 오사무, 불광출판사, 명상치료의 실천, 통증.고통에 대한 대처, p196 




반응형

'S - 심리치료 > 저장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일화로부터의 해방 - 탈동일화  (2) 2013.06.18
심리학 관련 트위터들 - 2012년 7월에 정리  (0) 2013.06.08
마음챙김 먹기  (0) 2012.08.17
목격하는 자아  (2) 2012.07.12
용서의 오해  (1) 2012.06.12
1 
BLOG main image
나는 푸른 하늘을 기억하고 있다

by dung

공지사항

카테고리

분류 전체보기 (1407)
우리집 곰두리들 (149)
만날만날 (52)
토동토동 (370)
리뷰 (514)
나의 시간 (145)
알아차림과 수용 (0)
S - 심리치료 (145)
S - 일러스트와 디자인 (24)
w - 모에모에 설정 (0)
W - 나의 끄적끄적 (0)

달력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최근에 받은 트랙백

05-03 03:34
tistory!get rss Tistory Tistory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