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략)... 우리들의 대부분은 '9.11' 이후 이어진 테러와 전쟁의 난장판에 무감각한 시선을 보냈다. 각종 미디어가 전해준 참상의 이미지가 부족해서였던가? 아니다. 그 참성이 우리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고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국과 아프가니스탄과 이라카의 민간인들이 죽고 군인들이 다치는 모습을 생생하게 지켜보면서도, 우리는 그 미디어 이미지들을 오락영화나 다름없이 소비할 수 있었던것이다. 반명 무장테러집단의 비디오로 매개된 김선일 씨 사건은 우리에게 큰 충격과 공포를 가져다주었다. 우리는 그것을 즉각 우리의 문제로 인식했고, 사건의 전행과정에 공분했으며, 문제해결의 여론을 모았다. 그러한 일련의 반응 밑에는 동족이기에 가능했던 재빠른 감정이입, 자국민 보호에 실패한 국가를 향한 불신감, 그리고 우리가 입게 될지 모르는 구체적 피해에 대한 상상이 깔려 있었다.
유의할 점은 우리가 이라크전의 이미지들에 무심했던 것이나, 김선일 씨 비디오에 분노할 수 있었던 것 모두 마찬가지 이유에서였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철저하게 민족주의적인 시선으로 그것들을 바라보았다. 그 시선 아래서는 민족의 일만이 주된 관심사가 되고, 민족의 이해관계만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여거진다. 물론 한국인들에게 한국인의 죽음이 더 경렬한 동일시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의미 있는 사건으로 받아들여진다 해서 그 현상 자체를 비난할 수는 없다. 근대 국민구각 체제 안에서, 민족주의는 부정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문제는 민족주의적 정서를 바탕으로 생겨난 타인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이 민족을 넘어서는 타자 일반에 대한 보편적 존중과 연대의식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는지의 여부에 있다. 그러기 위해 우리에게 요구되는 최소한의 덕목은 고통의 감수성이 국민국가의 테두리에만 머물러 있지 않은지, 행여 다른 민족의 차별이나 배제 위에서 작동하고 있지는 않는지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김선일 씨 사건을 계기로 드러난 우리 대다수의 민족주의적 시선은 불행하게도 그와 같은 성찰을 결여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배타적"이었다. 배타적 민족주의는 다른 민족의 자율성과 평화를 위협하고 훼손할 수 있는 자민족의 이익추구 행위마저 이념적으로 합리화 한다. 그러한 시선은 우리 스스로 한 몫을 맡은 침략전쟁에 수치감이나 죄의식을 가지기 못하게 만들고, 이해타산의 논리만 좇는 정책결정을 당언시하도록 만들며, 심지어 전쟁의 희생자들에게 인간적인 공감과 동정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태연할 수 있게끔 만든다. 하지만 이유 없는 고통과 죽음의 현실이 지니는 무게는 결코 국적에 따라 더해지거나 덜어지는 것이 아니다. ...(중략)생각의 나무 당대비평 특별호 <아부그라이브에서 김선일까지>_ 이상길 [테러, 이미지, 비디오 테이프: 김선일 씨 사건을 되돌아본다] 본문중에서.
'리뷰 > 텍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이한 글에 대하여 (0) | 2007.01.22 |
---|---|
<스피박의 대담> 5장 다문화주의의 문제점 중에서 (2) | 2007.01.20 |
박노자 교수님의 군사주의, 반전 평화 그리고 진보정당의 강연 (0) | 2007.01.06 |
<자연을 닮은 식사>를 읽은 이후에 (0) | 2007.01.06 |
부르스 링컨의 <거룩한 테러> (0) | 2007.01.06 |